[ 직렬화(serializable)와 serialVersionID란? ]



객체를 파일에 쓰거나, 파일에서 객체로 읽어오거나 혹은 네트워크를 통해 객체를 전송할 때 serializ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직렬화)하는 것을 본적 있을 것이다.


그림 직렬화란 무엇일까?

쉽게 말해


직렬화??

 - 객체를 전송하는 것은 파일로도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에 많을 것이고

   또한,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면 주고받는 쪽이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언어가 필요할 것이다.

예를들자면

A -> B로 보낼 때 A는 프랑스 사람이고 B는 한국 사람인데 둘 다 서로의 언어는 모르지만 둘 다 영어는 할 줄 안다치면

둘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객체를 영어로 변환(직렬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주고 받으면 자신들의 언어로 역직렬화 하는 것!


그럼 비유를 마저 들어

serialVersionID는 무엇일까?

-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여러군대와 주고받다보면 어떤 클래스인지 정확히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있을 것이다.

  즉, 주고받은 클래스 객체를 고유하게 구분하는 코드와 같은 것!


따라서, 주로 JAVA DTO 클래스에 implements Serializable했을 때 

final static Long serialVersionID = ~~ 라고 지정을 하지 않으면 노란색 삼각형으로 warning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구현하지 않을 경우는 자바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default로 생성해주게 된다.

하지만, 경고는 보기 싫으니까 클래스 명에서 ctrl + 1눌러 serialVersionID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도록 하자.

(간혹 자동생성이 안뜨는 경우... 자동생성 플러그인을 이용하자.)


 

'스터디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림(Stream) - Java8  (0) 2019.07.11
자바 정규표현식  (0) 2018.10.19

[ 자바 정규 표현식(RegExpress) ]



자바 정규표현식 사용법)

boolean result = Pattern.matches("정규표현식", 검증데이터);

"정규표현식"에는 "^[0-9a-zA-z]*$" 과 같은 정규표현식이 들어가고, 검증데이터는 해당 정규표현식이 맞는지 확인할 데이터가 들어간다.

결과는 true/false로 return 된다.



- 다음은 정규표현식 문법)

표현식

 설명 

 ^

 문자열의 시작

 문자열의 종료

 .

 임의의 한 문자 (문자의 종류 가리지 않음)

 단, \ 는 넣을 수 없음

 *

 앞 문자가 없을 수도 무한정 많을 수도 있음

 앞 문자가 하나 이상

 앞 문자가 없거나 하나있음

 []

 문자의 집합이나 범위를 나타내며 두 문자 사이는 - 기호로 범위를 나타낸다. []내에서 ^가 선행하여 존재하면 not 을 나타낸다.

 {}

 횟수 또는 범위를 나타낸다. ex) {2,3} : 2글자에서3글자 {2}2글자

 ()

 소괄호 안의 문자를 하나의 문자로 인식 

 |

 패턴 안에서 or 연산을 수행할 때 사용

 \s

 공백 문자

 \S

 공백 문자가 아닌 나머지 문자

 \w

 알파벳이나 숫자

\W 

 알파벳이나 숫자를 제외한 문자

\d 

 숫자 [0-9]와 동일

\D 

 숫자를 제외한 모든 문자

 정규표현식 역슬래시(\)는 확장 문자
 역슬래시 다음에 일반 문자가 오면 특수문자로 취급하고 역슬래시 다음에 특수문자가 오면 그 문자 자체를 의미

(?i) 

 앞 부분에 (?i) 라는 옵션을 넣어주면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


위의 문법 정보를 가지고 몇가지 연습을 해보자.

-> 먼저 데이터가 문자열로 넘어온다면 문자열 시작 : ^, 문자열 끝 : $ 로 감싸주면 될 것이고, 문자열이 아니면 안쓰면 된다.


EX)

1. 숫자데이터만 

->  ^[0-9]*$ 또는 ^\d*$

// "234" 이런식으로 문자열로 숫자가 감싸져 넘어오는 경우를 체크할 수 있다. 234 숫자 타입으로 넘길 경우 [0-9]*로만 해도 됨.

2. 영문자만

-> ^[a-zA-z]*$

// [] 안의 패턴은 and일 경우 ,로 구분할 필요 없이 쭉 이어쓸 수 있다.

3. 한글만

-> ^[가-힣]*$

4. 영어&숫자만

-> ^[a-zA-Z0-9]*$

5. E-MAIL(이메일) : ex) dudfhd705@gmail.com

-> ^[a-zA-Z0-9]+\@[a-zA-Z]+\.[a-zA-Z]+$

// 사이에 *가 아니라 +가 와야하는 이유는 해당 부분은 한글자 이상 반드시 있어야함으로 *는 없거나 1글자 이상이기 때문에 없을 수도 있어서

6. 핸드폰 : ex) 010-3456-2361, 010 - 3456 - 2361, 010 3456 2361, 01034562361

-> ^01(0|1|[6-9])$\s?\-?\s?(\d{3,4})\s?\-?\s?\d{4}$

// \s? : 공백이 올수도 있고 안올 수도 있고 \-? : - 특수문자가 올수도 있고 안올수도 있고

7. 주민등록번호

900317-1033334라고 가정

-> \d{6}\-[1-4]\d{6}

8. IP 주소

196.168.1.213 라고 가정

-> \d{1,3}\.\d{1,3}\.\d{1,3}\.\d{1,3}



그럼 실제로 자바에서 Email 검증을 위한 코드 Ex)

                String regEx = "^[a-zA-Z0-9]+\\@[a-zA-Z]+\\.[a-zA-Z]+$";

boolean regCheck = false;

regCheck = Pattern.matches(regEx, "dudfhd705@gmail.com");

if(regCheck) { // true

// 이메일 형식이 맞는 경우

}else { // false

// 이메일 형식이 아닌 경우

}


'스터디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림(Stream) - Java8  (0) 2019.07.11
직렬화(serializable)와 serialVersionID란?  (0) 2018.10.22

[    JSP 자바 빈즈(JAVA BEANS)    ]







그렇다면 지금까지 살펴본 빈즈는 왜 사용하는 것일까?? 무엇인가 편리한게 있지 않을까?


그렇다. 빈즈를 이용하면 우리가 form 태그에서 input 태그 등을 이용해서 많은 값들을 submit으로 보낼 때


이러한 값들을 일일이 하나씩 request.getParameter("name") 등으로 가져오지 않고 한번에 빈즈 객체에 저장시킬 수 있다.


매우 편리하다!!


하지만, 조건이 있다. form태그에 있는 input 태그 등의 name값과 빈즈의 필드변수명이 일치해야만 한다.


아래의 예제를 보자.


-PeopleBeans 클래스



-beansMain.jsp : 폼태그가 있는 페이지


-beans.jsp : 폼태그에서 서브밋해 데이터를 전달받을 페이지



'스터디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커넥션 풀(Connection Pool)  (0) 2017.08.16
JSP DB(데이터베이스)  (0) 2017.08.14
JSP 에러페이지에 대하여...  (0) 2017.08.11
JSP 쿠키(cookie)에 대하여...  (0) 2017.08.11
JSP에서의 세션(session)에 대해서...  (0) 2017.08.11

[    웹개발(JAVA,JSP,Spring) 관련 예상 면접 질문    ]




웹 개발 면접시 인성 질문, 자기소개, 프로젝트 내용 질문을 제외한 JAVA와 관련된 기술 예상 면접 질문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자바의 특징에 대해 말해보시오.

1) OOP(객체 지향 언어) 

: 부품에 해당하는 객체들을 먼저 만들고, 이것들을 하나씩 조립해 전체 프로그램을 완성하는 개발 기법

2) "가비지 컬렉션"에 의한 메모리 자동 관리

3) "멀티 쓰레드"를 지원한다.

4) JVM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특정 OS에 종속적이지 않고 이식성이 좋으며, 보안성이 좋다.

5) 다양한 Open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한다.



2) 자바를 만든 사람에 대해 아시나요?

: "제임스 고슬링"



3) 변수란?

: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4) 객체와 클래스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 클래스(Class) : 현실 세계의 객체의 속성과 동작을 추려내 필드와 메서드로 정의한 것으로 "아직 메모리가 할당되지 않은 상태"

vs

- 객체(Object) : 이 Class라는 설계도를 기반으로 실제 메모리가 잡힌 것을 의미하며 이런 객체를 조합해 전체 프로그램을 완성해

   나가는 방식을 OOP(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5) 객체 지향 PG이란? 또 그 특징은?

: 현실세계의 객체를 필드와 메서드로 정의한 Class를 기반으로 실제 메모리가 잡혀 만들어진 부품과 같은 객체들을 조합해

  전체 프로그램을 완성해 나가는 개발 기법으로

특징)

- 캡슐화, 은닉화 : 외부 객체에서 구현방식은 알 수 없도록 숨기고 별도로 접근할 수 있는 getter/setter 메서드를 통해 접근하도록 하는 방식

- 상속 : 부모 Class를 자식이 접근할 수 있도록 물려 받는 방식

- 다형성 : 부모 클래스 타입으로 해당 부모를 상속받는 여러 자식 class를 대입할 수 있는 성질

등을 들 수 있다.



6) 다형성이란?

: 서로 다른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지만 같은 부모의 Class 타입으로 이들을 관리할 수 있는(=대입될 수 있는) 성질



7) 자바의 메모리 영역(간단하게 설명)

1. 메서드 영역 : static 변수, 전역변수, 코드에서 사용되는 Class 정보 등이 올라간다.

    , 코드에서 사용되는 class들을 로더로 읽어 클래스별로 런타임 필드데이터, 메서드 데이터 등을 분류해 저장한다.

2. 스택(Stack) : 지역변수, 함수(메서드) 등이 할당되는 LIFO(Last In First Out) 방식의 메모리

3. 힙(Heap) : new 연산자를 통한 동작할당된 객체들이 저장되며, 가비지 컬렉션에 의해 메모리가 관리되어 진다.



8) 추상메서드? 추상 클래스?

- 추상메서드 : 메서드의 정의부만 있고 구현부는 있지 않은 메서드

- 추상 클래스 : 추상메서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는 클래스로 자식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재정의)가 필요한 추상메서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객체화 할 수 없다.



9) 인터페이스(Interface)란? 또 왜 사용하나?

: 인터페이스는 모든 메서드가 구현부가 없는 추상메서드로 이루어진 클래스로, abstract 키워드를 붙이지 않아도 자동으로 모든 메서드는 추상메서드로

  정의가 된다. 또한 변수도 자동으로 final static 키워드가 붙게 된다.


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가? 

: 팀작업시 개발코드 부분과 객체가 서로 통신하는 접점 역할을 지원하게 되는데, 이는 개발코드에선 객체의 내부 구조를 모르더라도 인터페이스의

  메서드 명만 알고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해당 메서드를 통해 나오는 결과물을 알고 있기 때문에 다른 팀의

  작업을 기다리고 있지 않아도 되며, 또한 해당 객체가 수정될 경우 개발 코드 부분은 수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객체를 파일에 쓰기 위해 Serializ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Collections.sort()를 하기 위해서 Comparable 인터페이스를 

  상속하는 것, Cloneable 을 구현하는 것처럼 특정 작업을 하겠다라는 "Mark"역할을 해주기도 한다.



10) 프로세스(Process) 와 쓰레드(Thread)의 차이점에 대해 아는가?

- 프로세스 : OS가 메모리 등의 자원을 할당해준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이때, 각각의 프로세스는 서로 메모리 공간을 독자적으로 갖기 때문에

    서로 메모리 공간을 공유하지 못한다. 따라서 공유하기 위해서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과 같은 방식이 필요하다.

- 쓰레드 : 쓰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프로세스의 자원을 가지고 실제로 일하는 "일꾼"과 같으며 각 쓰레드는 독자적인 Stack 메모리를 갖고 그 외의

  자원(메모리)는 프로세스 내에서 공유하게 된다.



11) 컬렉션프레임워크(CollectionFramework)에 대해 아는만큼 말해 보시오.


- Collection 인터페이스 

- List 인터페이스 : 배열과 유사하되, 추가할때마다 자동으로 Boundary를 늘려주는 구조로,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며, 순서가 존재한다.

ex) - ArrayList : 배열로 구현됬으며, 인접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조회에 매우 빠르다 하지만, 빈번한 삽입, 삭제시 새로 배열을 만들고 데이터를

옮겨야 하기 때문에 LinkedList에 비하여 속도가 느리다.

    - LinkedList : 링크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회는 ArrayList에 비해 느리지만, 삽입 삭제시 링크를 끊고 새로 추가되는 데이터에 링크만

연결하면 되기 때문에 삽입, 삭제에 유리하다.

    - Vector : 구현 방식은 ArrayList와 유사하지만 Vector를 개선한 것이 ArrayList이다. 또한 Vector의 경우에는 ArrayList와 달리

Synchronized(동기화)가 걸려 있어 여러 쓰레드에서 동시에 접근할 수 없다.

- Set 인터페이스 : 집합처럼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으며, 순서가 없다. 또한, 객체 내부의 중복된 데이터를 배제하고 싶은 경우

  Object 클래스의 equals 메서드와 hashCode 메서드의 재정의가 반드시 필요하다.

ex) - HashSet

    - TreeSet : 순서가 있는 HashSet으로 이진 트리 구조로 만들어 졌다. 순서에 맞게 정렬되어 저장되기 위해서 Comparable을 구현해야한다.

    


- Map 인터페이스 : key와 value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key는 중복될 수 없고, value는 중복 저장이 가능하다.

ex) - HashMap

     - TreeMap

     - Properties : key value 쌍으로 저장되지만 value의 타입이 String만 가능하다.

     - Hashtable : HashMap과 구조는 같으며, 단지 Synchronized(동기화) 되어져 있다는 점이 다른점이다.


12)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 공통점 : 둘 다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 차이점

- 쿠키:  쿠키는 Client 컴퓨터에 저장했다 서버 요청시 네트워크를 타고 서버로 전달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

- 세션 : 세션은 서버에 저장되고 브라우저 단위로 관리된다. 캐시에 비해 보안성이 좋다.


13) Request 전송 방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아시나요?

- Get 방식 : URL의 쿼리문자열에 데이터를 같이 전달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길이에 제한이 있고, 보안에 취약하다.

- POST 방식 : 헤더에 데이터를 넣어 보내기 때문에 보안에 조금 더 유리하고 데이터 길이에 제한이 없다. 하지만, Get에 비해 다소 느리다.

- DELETE 방식 : RESTFUL에서 삭제 기능을 할 때 주로 사용된다.

- PUT/PUSH 방식 : RESTFUL에서 수정 작업을 할 때 주로 사용된다.



14) RESTFUL이란?

: 해당 URL만 보더라도 바로 어떤 작업을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는 하나의 URL을 갖도록 작업하는 방식



15) Spring에서 DI란 무엇인지 아시나요?

: DI는 Dependency Injection(의존성 주입)의 약자로, 객체들 간의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Spring의 IOC 컨테이너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입니다.

  DI는 기존처럼 개발코드 부분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팩토리 패턴처럼 객체의 생성과, 데이터를 주입만 담당하는 Factory에 해당 하는 

 별도의 공간에서 객체를 생성하고 데이터간의 의존성을 주입해 개발코드에서는 이를 가져다 씀으로서 의존성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이때, 

 Factory 패턴의 Factory Class의 역할을 스프링의 환경설정 파일이 담당합니다.



16) Spring의 AOP란?

: AOP는 Aspect Oriented Programming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의 약자로, 기존의 OOP(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기능별로 class를 분리했음에도 불구하

 고, 여전히 로그, 트랜잭션, 자원해제, 성능테스트 메서드 처럼 공통적으로 반복되는 중복코드가 여전히 발생하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나온 방식으로

 이러한 공통 코드를 "횡단 관심사"라 표현하며 개발코드에서는 비지니스 로직에 집중하고 실행시에 비지니스 로직 앞, 뒤 등 원하는 지점에

 해당 공통 관심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서 중복 코드를 줄일 수 있는 방식입니다.



17) Filter와 Interceptor 방식의 차이?



18) 디자인 패턴 아는 것?

1) 싱글톤(SingleTone Pattern) : 대표적으로 Calendar 객체나 dataSource 객체처럼 객체가 하나만 생성되어야 하는 경우

 전체 코드에서 하나의 객체만 존재할 수 있도록 이미 생성된 객체가 있으면 그 객체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2) 팩토리 패턴(Factory pattern) : 객체간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 객체의 생성과 데이터 주입만 담당하는 Factory Class를 정의하고 개발 코드 부분에서는

   생성된 객체를 가져다 사용함으로서 의존성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3) 옵저버 패턴(Observer Pattern) : 기후 정보처럼 RSS 수신시 하나의 객체가 변하면 다른 객체에 객체가 변했다는 사항을 알려주어야 할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19) MVC 패턴이란?

- Model : data 처리와 접근을 담당

- View : Client에 보여지는 화면을 담당

- Controller : Model과 View를 제어

하는 3가지 부분으로 나눔으로서, 데이터와 화면간의 의존관계를 벗어날 수 있게하는 개발 기법입니다.



20) 프로젝트 개발 순서??

대강...

1) 요구사항 분석 

기획 및 스토리 보드 작성

2)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작성 : 작업 분해도로 프로젝트 범위와 최종산출물을 세부요소로 분할한 계층적 구조도

3) 논리 ERD 작성

4) 물리 ERD 작성

5) 개발

6) Testing

7) 유지보수



21)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의 차이?

- 오버로딩 : 메서드 명은 동일하지만, 매개 변수 타입과 개수를 다르게 해 선언하는 방식

- 오버라이딩 : 상속한 자식에서 부모의 메서드를 재정의하는 방식


22) Servlet vs JSP

- Servlet : 자바 언어로 웹 개발을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Container가 이해할 수 있게 구성된 순수 자바코드로만 이루어진 것

- JSP : html 기반에 JAVA 코드를 블록화하여 삽입한 것으로 Servlet을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 진 것


23) Wrapper Class의 사용이유를 아나요?

: 기본 data 타입은 객체가 아니어서 Object로 받는 다형성을 지원할 수가 없다. 하지만, 메서드에서 실재로 기본데이터 타입을 다형성으로

 넘겨주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데 이때, 기본 데이터 타입을 객체로 변환시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최근에는 AUTO Boxing, AUTO UnBoxing이 지원된다.



24) DataBase에서 Index란?

: Table에 대한 동작 속도를 높여주는 자료구조로서 빠른 검색을 가능하게 해준다.



25) private, protected, public, default 제어자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 private : 같은 class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 public : 어디서든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하다.

- protected : 같은 class 내부 + 상속받은 자식에서는 부모 class에 접근이 가능하다.

- default : 아무 것도 선언하지 않은 경우로 같은 패키지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26) SI가 무엇을 하는 건지 알고 오셨나요?

: System Integration의 약자로 시스템 통합 사업으로 고객의 기존 전산시스템을 통합하거나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는 작업입니다.



27) SW 개발시 가장 비중을 크게 두어야 할 부분은 어디라고 생각하나요?

: Testing 부분입니다. 



28) 자바의 제네릭이란??

: 클래스 내부에서 사용할 데이터 타입을 인스턴스(객체) 생성시에 결정짓는 방식


-----------------------------------------------------------------------------------------------------------------------------------------

-> 여기까지는 제가 예상하는 면접 질문을 올리고 이 아래부터는 실제로 제가 기술면접 당시 받았던 질문들입니다.



[ 기술 면접 질문 ]

 

 

1. CVSSVN에 대해서 아는대로 설명해 보시오.

 

2. 64bit CPU32bit CPUOS적 관점에서의 차이를 설명해 보시오.

 

3.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메모리 구조 포함 )

 

4. ‘데드락이란 무엇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해 보시오.

 

5. 변수 명명법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고 예를 들어 보시오.

 

6. 자바의 JVM의 역할에 대해서 설명해 보시오.

 

7. 자바의 특징에 대해서 말해 보시오.

 

8. Linux에서 톰캣 환경설정을 잡는 것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9. WAS와 웹서버의 차이점은?

 

10. JqueryAjax에 대해 아는가?

 

11. 비동기와 동기 방식의 차이점에 대해서 말해보시오.(네트워크 동기,비동기 아님)

 

12. 개발시에 중요하다 생각하는 요소를 3가지 기술해 보시오.

 

13. 스프링의 MVC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4. AOP란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지

 

15. ‘에자일방법론에 대해서 아는가?

 

16. 스프링 환경설정 혼자 잡을 수 있는가? 대강 어떻게 해야하는지 설명해 보시오.

 

17. 웹서버 내부 구동 방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가?

 

18. 스프링 DI?

 

19. UML 그려본 적 있는가?

 

20. Node jsAngular JS를 사용해 본 적이 있는가?

 

21. 캐시와 세션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말해보시오.

 

22. 디자인 패턴 아는 것들만 간략히 설명해 보시오.

 

23. DataBase에서 index관련 질문이었는대 잘 모르겠어서..기억이..

 

24. 크롬이나 파이어폭스에서 개발도구를 사용해 디버깅을 해보았는가?

 

25. JDBC는 무엇인가?

 

26.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MVCJSP에서 만들어 보았는가?

 

27. DB 옵티마이저에 대해 아는가?

[    스프링에서 구글맵 연동하기    ]



스프링에서 구글맵을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1. 먼저 구글 API 키를 다음 url로 들어가 얻습니다.

https://console.developers.google.com/flows/enableapi?apiid=maps_backend,geocoding_backend,directions_backend,distance_matrix_backend,elevation_backend,places_backend&reusekey=true


생성된 키는 곧 사용되니 잘 보관하고 계시고요


2. 두번째로 뷰단에서 html 코드를 작성합니다.

<div id="map"></div> 이 부분이 구글맵이 들어갈 자리고, style안에 #map 부분은 구글맵 컨테이너에 대한 스타일을 지정하는 부분입니다.





3. script 쪽을 작성합시다.

getAddr() 함수 부분은 제 코드임으로 구글맵과는 연관성이 없음으로 빼주시면 되고요


function initMap() 부분에서 지도의 초기화화 그려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script async defer  src="https://maps.googleapis.com/maps/api/js?key=자신의API키를넣으세요&callback=initMap">

</script>

부분은 자신의 API키를 넣어서 map을 로딩하는 요청을 보낼 수 있도록하고, 해당 로딩이 완료되면 callback에 지정한 

initMap() 메서드로 콜백이 들어와 지도를 그려주게 됩니다.


나머지 마크에 대한 설정, 위도 경도 세팅에 대한 내용은 코드 주석을 참고하세요.



[ 스프링 환경 설정 정리 ]


1. [ index.jsp 메인 화면 띄우기 ]


1) WEB-INF/views 폴더 아래에 메인페이지로 쓸 index.jsp 페이지를 생성한다.

2) root 패키지에서 controller 패키지를 추가한 뒤, MyController.java 처럼 앞으로 컨트롤러로 이용할 자바 클래스를 만들고 아래처럼 소스코드를 작성한다.


@Controller // 스프링 웹 설정파일인 WEB-INF/spring/appServlet/servlet-context.xml 에서 <contextcomponent scan package로 지정된 패키지에서 탐색을 해 @Controller가 있는 클래스를 컨트롤러 클래스로 인식한다.

public class MyController {


// 메인 페이지 임으로 http://127.0.0.1:80/ 으로 요청시 index.jsp가 뜰 수 있도록 RequestMapping을 / 로 지정한다.

@RequestMapping(value="/")

public String homePage(){

return "index"; // servlet-context.xml 파일에서 ViewResolver에 매칭되는 부분으로 띄워줄 뷰 이름을 적는다.

}


3) 여기까지 작업시, http://localhost:80/root패키지/ 이렇게 해야 index.jsp가 뜨게 됨으로 http://localhost:80/ 만으로 뜨게하기 위해서 servers 탭의 서버를 더블클릭해 서버 설정창으로 들어가 modules 탭을 누르고 Edit를 눌러 Path 에 / 가 되도록 수정해 준다.


4) web.xml에 들어가 <welcome-file-list>index.jsp</welcome-file-list>를 추가해준다.

5) 앞으로 우리가만든 MyController로 쓸 것임으로 기존에 있던 HomeController 지워버리자.


: 결과) http://localhost:80/ 만으로 index.jsp 페이지가 뜨게 된다.

-----------------------------------------------------------


2. [ 한글 설정하기   ]


: JSP에서 filter를 이용해 controller로 들어가기 전에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을 해줬던 것처럼 스프링에선 이러한 역할을 하는 클래스를 제공한다. 이 클래스를 filter에 등록하고 url 매핑을 해주자.


1) web.xml에

<!-- [한글처리] -->

<filter>

<filter-name>encodingFilter</filter-name>

<filter-class>org.springframework.web.filter.CharacterEncodingFilter</filter-class>

<init-param>

<param-name>encoding</param-name>

<param-value>UTF-8</param-value>

</init-param>

</filter>

<filter-mapping>

<filter-name>encodingFilter</filter-name>

<url-pattern>/*</url-pattern>

</filter-mapping>


코드를 추가해주자. 단! 주의할 점은, 반드시 servlet 태그 위에 위치해야한다.!! 서블릿보다 필터가 먼저 와야함!!

-----------------------------------------------------------

3. [ DB 설정하기 ]


1) [ DB DataSource 객체 생성 및 JUnit 단위 테스트하기]

a) pom.xml에 아래 라이브러리를 추가시킨다.


<!-- mysql -->

<dependency>

<groupId>mysql</groupId>

<artifactId>mysql-connector-java</artifactId>

<version>5.1.35</version>

</dependency>


<!-- spring-jdbc : datasource 객체 가져올 때 쓰임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jdbc</artifactId>

<version>4.3.7.RELEASE</version>

</dependency>


<!-- spring-test : Junit을 이용해 스프링 코드를 테스트할 때 필요하다.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test</artifactId>

<version>4.3.7.RELEASE</version>

</dependency>


+ JUnit 버전을 4.10 이상으로 올려준다.!!

b) 스프링 환경설정 파일에 datasource 빈 객체를 등록해주어야 하는데 스프링에는 환경설정 파일이 두개가 있다.

- WEB-INF/spring/appServlet/servlet-context.xml

: 웹과 관련된 환경설정을 담당한다.

- WEB-INF/spring/root-context.xml

: 웹이외의 환경설정을 담당

ex) DB설정, 트랜잭션 설정 등등...

따라서, root-context.xml에 아래의 코드를 추가시킨다.

<!-- [데이터베이스 DataSource설정] -->

<bean id="datasource"class="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riverManagerDataSource">

<property name="driverClassName" value="com.mysql.jdbc.Driver"></property>

<property name="url" value="jdbc:mysql://localhost:3306/book_ex?useSSL=false&amp;serverTimezone=Asia/Seoul"></property>

<property name="username" value="root"></property>

<property name="password" value="dudfhd13"></property>

</bean>


c) 데이터 베이스에 연결이 잘 되어 Connection 객체가 잘 얻어지는지 JUnit테스트를 진행하자!


: 스프링에서 test를 진행할 때는 src/test 폴더에서 작업을 해야한다. 

: src/test/패키지경로/ 에다가 DataSourceTest.java 클래스를 하나 만들고

: 다음의 코드를 작성한다.


// JUnit은 WAS 구동없이 테스트를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단위테스트에 적합하다. 또한, 스프링은 많은 작업을 하고 테스트하려면 오류를 잡기 어려움으로 단위테스트에 신경을 쓰자.

// 스프링 관련 테스트임으로 이 작업을하려면 pom.xml에 spring-test 라이브러리가 추가되어 있어야한다.

@RunWith(SpringJUnit4ClassRunner.class) // 스프링을 로딩한다.

@ContextConfiguration(locations ={"file:src/main/webapp/WEB-INF/spring/**/*.xml"}) // 스프링 설정파일을 로딩한다.

public class DataSourceTest {


@Inject // byType으로 스프링 환경설정파일에 생성해둔 타입이 같은

// 녀석을 자동으로 주입한다.

private DataSource ds;

@Test // 단위테스트할 메서드에 작성한다.

public void testConection()throws Exception{

try(Connection con = (Connection) ds.getConnection()){

// datasource로부터 Connection 객체를 얻어 로그를 찍어보자.

// 메서드를 더블클릭하고 오른쪽 클릭->Run as->Junit Test를 클릭해 Connection 객체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다면 DB연결에 성공한 것이다.

System.out.println("테스트 : " + con);

}catch(Exception e){

e.printStackTrace();

}

}

}



2. datasource 객체를 등록했음으로 [ MyBatis(마바) 설정을 하자 ]


a) pom.xml에 아래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

<!-- mybatis -->

<dependency>

<groupId>org.mybatis</groupId>

<artifactId>mybatis</artifactId>

<version>3.4.1</version>

</dependency>


<!-- mybatis-spring -->

<dependency>

<groupId>org.mybatis</groupId>

<artifactId>mybatis-spring</artifactId>

<version>1.2.2</version>

</dependency>


b) classpath경로인 src/resources 에 mapper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MyBatisMapper.xml 파일을 만들고 아래 코드를 작성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mapper

PUBLIC "-//mybatis.org//DTD Mapper 3.0//EN"

"http://mybatis.org/dtd/mybatis-3-mapper.dtd">


<!-- namespace는 mapper를 구분하는 역할을 함으로 고유한 값으로 지정하지만 보통 프로젝트의 패키지명으로 짓지만 여기선 간단히 작성했다. -->

<mapper namespace="MapperNameSpace">


</mapper>


c) src/resources 아래에 mybatis-config.xml을 추가하고 다음의 코드를 작성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configuration

  PUBLIC "-//mybatis.org//DTD Config 3.0//EN"

  "http://mybatis.org/dtd/mybatis-3-config.dtd">

<configuration>

  <typeAliases>

    <package name="org.zerock.domain"/>   

    <!-- 

    typeAliases에 패키지 속성으로 지정해 놓으면 mapper에서 resultType시 일일이 패키지명을 다 기재하지 않고 클래스명만 

    기재해 사용할 수 있다. import와 유사함

     --> 

  </typeAliases>

</configuration>


d) 스프링 환경설정 파일 root-context.xml에 가서 다음의 코드를 작성한다.


<!-- MyBatis의 SqlSessionFactory 빈을 등록한다. -->

<bean id="sqlSessionFactory" class="org.mybatis.spring.SqlSessionFactoryBean">

<property name="dataSource" ref="datasource"></property>

<property name="configLocation" value="classpath:/mybatis-config.xml"></property>

<property name="mapperLocations" value="classpath:mapper/**/*Mapper.xml"></property>

// 여기서 **는 어떠한 폴더가 와도 괜찮다는 의미 파일명 앞에 *는 아무거나 파일명와도 대고 끝에 Mapper.xml로 끝나는 파일 모두를 의미한다.

</bean>

<!-- MyBatis에서 실질적으로 우리가 사용하게 될 sqlSessionTemplate 빈을 등록하자. -->

<bean id="sqlSession" class="org.mybatis.spring.SqlSessionTemplate">

<constructor-arg index="0" ref="sqlSessionFactory"></constructor-arg>

</bean>


e) JUnit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자....라 하고 싶은데 너무 귀찮아서 생략하겠다.(잘될거다..)

-----------------------------------------------------------

4. [ AOP와 Transaction 설정 ]


: AOP란?

: OOP(객체지향)에서 기능별로 클래스를 나누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누어진 클래스들 안에서도 공통으로 사용되는 코드가 중복되기 때문에 여전히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지니스 로직이 아닌 공통관심사(횡단관심사)를 proxy(대리자)에게 실행시점에 너가 대신해서 저 비지니스 로직을 실행하는 메서드 앞이나 뒤 혹은 앞 뒤 에 넣어줘!(주입해줘) 처럼 작동하는 방식을 AOP(Aspect Object Programming : 관점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ex) 로그, 트랜잭션, 수행성능 테스트 메서드 등..


: AOP 필수 용어

- Advice : 공통관심사, 즉 공통으로 수행할 코드 자체를 의미한다.

- PointCut : 구체적으로 비지니스 로직의 어디에 들어갈지를 지정한다.(앞,뒤 혹은 둘다)

- JoinPoint : PointCut의 묶음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Advice가 적용될 메서드들

- Aspect : AOP의 하나의 단위라고 보면 된다. 즉, Advice + PointCut을 의미함

- Target : Aspect가 적용될 클래스를 가리킨다.

- Proxy : AOP를 대신 적용하는 대신자 객체

- Weaving : AOP를 적용하는 것을 위빙이라 한다.


여튼... 여기까진 상식적인 얘기고... 설정하는 방법은


Transaction을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저절로 AOP가 적용이 된다. 따라서 트랜잭션을 사용한다는 건, AOP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임으로 AOP에서 필요로하는 라이브러리도 필요하다.

즉, AspectJ와 spring-tx를 추가해야한다.


1) pom.xml에 

<!-- 트랜잭션을 위한 spring-tx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tx</artifactId>

<version>4.3.7.RELEASE</version>

</dependency>

<!-- AspectJ -->

<dependency>

<groupId>org.aspectj</groupId>

<artifactId>aspectjrt</artifactId>

<version>${org.aspectj-version}</version>

</dependency>

가 추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자. 일반적으로 legacy project로 생성시 aspectj는 있으니까 spring-tx만 추가해주도록 하자.

-----------------------------------------------------------

5. [ REST 설정 ]


: REST 방식

특정 url이 구체적인 특정 데이터를 의미하는 방식이다.

ex) /replies/123 + DELETE 방식 => 123번 댓글을 지운다.

ex) /replies/ + JSON 데이터 + POST 방식 => 댓글을 추가한다.

이러한 REST 방식은 AJAX와 연동되어서 자주 사용된다.


AJAX?

: 비동기적 통신 방법인데 JSP 화면처리가 싱글쓰레드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처리를 할 때 화면이 깜빡이는 것을 우리는 경험했을 것이다.

하지만, 좋아요 버튼 등을 클릭할 때 화면이 깜빡 거린다면...? 극혐

따라서, 싱글 쓰레드처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게 아니라 멀티쓰레드처럼 동시적으로 처리되는 것처럼 느껴지게 하는 방식인데 사실 동시적으로 처리된다기보단, 여유가 될 때 처리를 하도록 해놓고 그 작업을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하다가 그 작업이 처리되면 그 결과를 받는 방식이다.


여튼간.... 서두가 길었고...

설정을 위해서는... JSON 객체를 자동으로 일반 객체로 일반 객체를 반환시

JSON 객체로 자동으로 변환해주기 위해서 필요한 라이브러리가 있다.


1) pom.xml에 jackson-databind 라이브러리를 추가하자.

<!-- REST, AJAX를 위한 라이브러리 -->

<dependency>

<groupId>com.fasterxml.jackson.core</groupId>

<artifactId>jackson-databind</artifactId>

<version>2.8.5</version>

</dependency>


-----------------------------------------------------------

6. [ jdbc용 로그 설정해주기 ]


: 우리가 MyBatis를 이용해 작업을 할 때 최대 단점은?

console에 찍히는 것만 바서는 어떤 변수에 어떤 값이 set되는지 정확히 파악하기가 너무 어렵다. 인정??

따라서, log4jdbc log4j2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면 이러한게 친절히 다 나온다...


1) pom.xml에

<!-- jdbc log를 위한 라이브러리 -->

<dependency>

<groupId>org.bgee.log4jdbc-log4j2</groupId>

<artifactId>log4jdbc-log4j2-jdbc4</artifactId>

<version>1.16</version>

</dependency>

를 추가하자.


2) 이때 반드시!!!!!!,

- log4jdbc.log4j2.properties

- logback.xml

이 두 파일을 src/resources 아래에 넣어주어야 한다.

이 두 파일은 인터넷에서 구글링해서 찾던지... 기존에 환경설정 되있던대에서 가져와라

-----------------------------------------------------------

6. [ 스프링 MVC 파일 업로드 설정 ]


: 이미지 파일의 경우 이미지를 깨끗하게 축소할 수 있는 imgScalr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이 라이브러리는 큰 이미지 파일을 고정된 크기로 변환할 때 편리하다.


1) pom.xml에 아래의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

<!-- 파일 업로드 관련 라이브러리 -->

<dependency>

<groupId>org.imgscalr</groupId>

<artifactId>imgscalr-lib</artifactId>

<version>4.2</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mons-fileupload</groupId>

<artifactId>commons-fileupload</artifactId>

<version>1.3.1</version>

</dependency>

2) 웹에서 파일 업로드는 multipart/form-data라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서 전송한다. 이때, 스프링 MVC에서 파일 업로드를 처리하기 위해서 파일 업로드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객체가 필요한데 이 객체를 "multipartResolver"라고 한다. 

이 객체는 웹 설정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root-context.xml이 아니라 servlet-context.xml에 아래의 빈을 등록해 주어야 한다.


<beans:bean id="multipartResolver" class="org.springframework.web.multipart.commons.CommonsMultipartResolver">

<beans:property name="maxUploadSize" value="10485760"></beans:property>

</beans:bean>


파일 사이즈는 최대 10M정도로 설정했다.

-----------------------------------------------------------7. [ Spring MVC "인터셉터" 설정 ]


: 인터셉터는 JSP의 필터와 거의 유사하다. Controller로 요청이 들어가기 전에 한번 걸려주는 역할로

게시물 작성할 때 로그인이 필요하듯 게시글 접근 전에 로그인이 되어 있는지 유무등을 검사할 때 자주 사용된다.

하지만, Filter는 웹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동작하므로 스프링의 Context를 접근하기 어렵지만, 인터셉터는 Spring의 Context내에서 존재함으로 Context 내의 모든 객체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설정 방법)

1) 패키지에 SampleInterceptor 클래스를 하나 만들고 HandlerInterceptorAdapter를 extends(상속)한다.


package com.configure.javaStudy.intercepto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handler.HandlerInterceptorAdapter;


public class SampleInterceptor extends HandlerInterceptorAdapter{


}


2) WEB-INF/spring/appServlet/servlet-context.xml에 다음 코드를 추가한다.


<!-- 인터셉터를 쓰기 위해 만들어논 SampleInterceptor 클래스를 객체 등록해놓자. -->

<!-- 인터셉터 등록하려면 Namespaces 탭에서 mvc 가 체크 되어 있어야만 함! -->

<!-- interceptor 태그 부분에는 mapping에 원하는 URI를 지정한다. 이 설정은 web.xml의 필터나 servlet의 설정과 

동일함으로 필요한 경로를 직접 지정하거나, **, * 와 같은 패턴을 적용할 수 있다.

-->

<!-- 아래처럼 작성하면 현재 프로젝트의 /doA 경로와 /doB 경로를 호출할 때 SampleInterceptor 클래스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것! -->

<beans:bean id="sampleInterceptor"

class="com.configure.javaStudy.interceptor.SampleInterceptor">

</beans:bean>


<interceptors>

<interceptor>

<mapping path="/doA" />

<mapping path="/doB" />

<beans:ref bean="sampleInterceptor" />

</interceptor>

</interceptors>


-----------------------------------------------------------


여기까지가 스프링 기본 설정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작성자 : 황영롱 2017-04-28




쿠키와 세션을 이용한 자동 로그인 방식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쿠키와 세션이란?    ]


: 쿠키와 세션은 매우 유사하면서도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요.

- 공통점 : 사용자의 정보(데이터)를 저장할 때 이용된다.

- 차이점 : 

- 쿠키 : 1) 사용자의 로컬에 저장되었다가 브라우저가 요청시 왔다갔다하게 됨(보안에 취약)

     2) 세션과 달리 여러 서버로 전송이 가능함

     3) 세션이 브라우저 단위로 생성되어 브라우저 종료시 사라지는데 반해, 쿠키는 유효시간 설정을 할 수 있음. ex) 7일

- 세션 : 1)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쿠키에 비해 보안에 안전함

     2) 브라우저 단위로 생성됨 => 익스플로러를 켜고 크롬을 켜고 하면 각각 2개의 세션이 생성되는 것


[    2. why 쿠키와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처리를 하게 될까?    ]


: 세션은 위에서 설명한대로 기본 단위가 "웹 브라우저"입니다. 따라서, 웹 브라우저 종료시 소멸하게 되죠...

  그에 반해 쿠키는 사용자 PC에 저장되기 때문에 서버 요청시 전달되는 동안 네트워크 상에서 보안상 취약할 수는 있지만 유효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어 브라우저가 종료되는 것과 별개로 7일 30일 등 기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쿠키에 로그인할 사용자의 정보를 담고 있는다면 정말 정말 너무 너무 보안상 취약할 것을 알 수 있겠죠?

  따라서, 자동 로그인을 구현할 때에는 "< 세션과 쿠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    3. 세션과 쿠키를 이용한 자동 로그인 구현에 대한 개요    ]


: 사용자가 로그인 폼에서 로그인을 할 당시, 자동로그인을 설정하겠다는 CheckBox를 클릭할 경우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시키고 유효

기간을 설정한다는 것 까지는 알겠는데 그럼 도대체 어떤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시켜 놓아야할까요?


먼저, 사용자가 로그인에 성공한 경우! -> 세션에 사용자 객체(UserVO)를 저장시켰었는데 앞에서 이 객체를 쿠키에 저장시킨다면, 굉장히 보안상 취약합니다. 비밀번호, 아이디 그 외 정보까지 UserVO에 들어 있었죠...

따라서, 로그인에 성공했을 때 사용자 DB 테이블에 sessionId와 유효시간 속성에 값을 지정하는 겁니다. 그리고 쿠키에는 세션Id를

넣어 놓는거죠... 그리고 "인터셉터"에서 해당 쿠키값이 존재하면 사용자 DB 테이블 내에서 유효시간 > now() 즉, 유효시간이 아직 

남아 있으면서 해당 세션 Id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 정보를 검색해 해당 사용자 객체를 반환하는 겁니다.


당연히, 쿠키가 유효시간이 다되면 해당 자동완성 기능은 동작하지 않게 되고 다시 쿠키를 사용하겠다는 선택을 했을 때 동작하게 되겠죠

그럼, 다음으로 코드상에서 직접 한번 알아 봅시다.


[    4. 자동 로그인 실재로 구현해보기    ]


이번 장의 예제는 앞 게시글을 다 수행했다는 가정하에서 진행됩니다.


1) 먼저, UserController에서 로그인에 성공했으면서 사용자가 쿠키 사용 여부를 체크한 경우 -> 쿠키를 생성하고 세팅합시다.

코드를 살펴보면, service 객체의 login메서드를 통해 UserVO 객체를 반환하고 null이 아닌 경우 로그인에 성공했었죠?

이렇게 로그인에 성공되었으면서, 로그인 폼에서 checkBox를 선택한 경우(쿠키 사용하겠다는 체크박스) submit을 했을 때

UserVO 클래스 내의 useCookie 변수에 true/false로 값이 저장되어 들어 왔을 테니까

로그인에 성공했으면서 + 쿠키사용을 체크한 경우에 세션을 추가하도록 하는 부분이 앞에 코드에서 추가된 겁니다.

이때, 사용자 PC에서 쿠키를 보내는 경로가 "/" 로 설정함으로써 contextPath 이하의 모든 요청에 대해서 쿠키를 전송할 수 있

도록 설정한다는 것이고, 유효시간은 (초)단위 임으로 60 * 60 * 24 * 7로 세팅해주면, 로그인 후 해당 쿠키는 7일동안 유지될 수

있게 됩니다.(브라우저의 종료와 관계없이)

이때, 가장 중요하게 볼 부분이 쿠키에 UserVO 객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고!!!!(사실 쿠키는 문자열만 저장되기 때문에 가능하지도 않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세션 id를 저장해 놓는 겁니다.


그럼... 쿠키에 의해 자동로그인 기간은 제어가 될 것이고... 사용자는 해당 세션 id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겠죠??

따라서, 다음으로는 DB의 userTable에 세션Id와 유효시간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컬럼을 추가하도록 합시다.


2) DB userTable에 세션Id와 유효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컬럼을 만들기


3) userMapper.xml에 작업을 합시다.

1. 로그인 성공시 sessionId와 유효시간을 저장하는 부분 작성

2. 사용자가 이전에 로그인에 성공했었는지 확인하는 부분


4) userDAO 인터페이스와 userDAOImpl 클래스를 수정합시다.


5) UserService 인터페이스와 UserServiceImpl 클래스 수정하기


6) UserController에서 로그인 성공하고 쿠키사용 체크한 경우에 사용자 테이블에 세션id와 유효시간 처리해주기

아까 쿠키를 생성해서 세션id 저장한 부분 바로 아래에다가 사용자 테이블에도 세션 id와 유효시간을 저장해 놓아야함!


이후, AuthenticationInterceptor의 preHandle() 부분에서 

세션에 UserVO 객체가 null이 아닌 경우는 로그인 되어 있는 부분이니까 그대로 처리되도록 놔두고, 세션의 UserVO 객체가

null이지만, 쿠키가 null이 아닌 경우 쿠키에서 sessionId를 꺼내와서 사용자 객체를 반환받도록 작업할 것이다.


7) AuthenticationInterceptor에서 자동 로그인의 핵심 부분을 처리하자.

AuthenticationInterceptor에서도 DB에 접근해서 처리를 해야함으로 UserService를 필드변수에 선언해주고 자동 주입을 위해

@Inject해주었다.

또한 preHandle() 메서드에서 로그인 세션이 없으면서 WebUtils를 이용해 쿠키를 가져온 뒤 

로그인 세션이 없지만, loginCookie가 존재하는 경우 웹브라우저를 새로 켜고 로그인을 하지는 않았지만 이전에 로그인 하면서

쿠키 체크를 해논 유효기간이 남아 있는 경우임으로 service.checkUserWithSessionKey() 메서드를 통해 DB에서 유효기간이 남아있고

해당 세션id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 정보를 받아온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해당 사용자 정보로 세션의 login을 세팅해주면 자동로그인에 필요한 모든 작업이 완료되었다.


8) 로그아웃 처리(UserController에서...)

로그아웃 처리를 깜빡하고 마지막이랬다.. 하하하....


9) /views/board/listPge.jsp 에서 로그아웃 버튼 하나 넣기

<a href="/logout">[로그아웃]</a> 하나 추가하자 로그아웃 버튼!


10) 결과 확인하기


1) 로그인 하면서 로그인 상태를 기억하시겠습니까를 클릭하고 로그인 하는 모습

2) 로그인 한 직후 모습


3) 로그인 했음으로 글 작성 바로 잘 된다.


4) 로그아웃 버튼을 눌렀다. -> 눌렀지만, 내가 로그아웃 처리후 redirect를 listPage로 했기 때문에 다시 현재 화면이 뜸


5) 하지만 분명한건 로그아웃하고 다시 글등록 누르면 로그인 폼으로 이동된다는거~


여기까지해서 캐시 + 세션 + 인터셉터를 응용한 자동 로그인 구현을 마치겠습니다.


ps)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책을 공부하고 정리한 내용임을 다시 한번 언급드립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