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일즈와 유사하게 header, footer, body 등의 형식을 지원하는 sitemesh 설정 방법
[ SiteMesh 설정하기 ]
1. pom.xml에 dependency 추가
2. web.xml에 한글처리 filter 위에 filter 추가
이때, 모든 경로가 siteMesh의 영향을 일단 받을 수 있도록 /*로 설정한다.
3. /WEB-INF 폴더 밑에 sitemesh.xml 파일을 만들고 다음 코드를 붙여넣는다.
sitemesh 라이브러리를 추가했다면, WEB-INF 폴더 밑에 sitemesh.xml 파일을 자동으로 인식한다.
이 곳에서 sitemesh 설정파일의 위치를 등록해준다.
여기서는 /WEB-INF/decorators.xml 로 sitemesh의 설정파일을 사용하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위에서 설정파일로 사용할 xml 파일을 WEB-INF 폴더 하위에 decorators.xml로 만들고 다음 코드를 붙여넣는다.
/WEB-INF/decorators.xml
5. 데코레이터 기본 폴더에 decorator로 등록한 파일을 생성하자
/WEB-INF/views/layout/header-footer-layout.jsp 를 만들고 다음 코드를 붙여넣자.
6. 그 외의 설정
여기서는 4번에서 header-footer-layout.jsp 하나만을 등록하고 *(모든 요청)시 작동하도록 하였는데,
그 외에 다른 적용이 필요한 경우 이 부분에 다른 layout 설정 파일을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layout 파일 내에도 별도의 header.jsp 등을 만든 것을
<c:import 태그를 이용해서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개발 >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JAX를 동기화, 비동기화 지정하는 방법(동기<순서대로>로 작업하는 예제) (0) | 2017.05.31 |
---|---|
handlebars j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View 표현하기 (1) | 2017.05.31 |
게시글 페이징 처리하기(페이지 처리 쪽 처리) (11) | 2017.05.07 |
스프링 환경설정 (2) | 2017.05.06 |
쿠키와 세션을 이용한 자동 로그인 처리 (4) | 2017.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