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SP 자바 빈즈(JAVA BEANS)    ]







그렇다면 지금까지 살펴본 빈즈는 왜 사용하는 것일까?? 무엇인가 편리한게 있지 않을까?


그렇다. 빈즈를 이용하면 우리가 form 태그에서 input 태그 등을 이용해서 많은 값들을 submit으로 보낼 때


이러한 값들을 일일이 하나씩 request.getParameter("name") 등으로 가져오지 않고 한번에 빈즈 객체에 저장시킬 수 있다.


매우 편리하다!!


하지만, 조건이 있다. form태그에 있는 input 태그 등의 name값과 빈즈의 필드변수명이 일치해야만 한다.


아래의 예제를 보자.


-PeopleBeans 클래스



-beansMain.jsp : 폼태그가 있는 페이지


-beans.jsp : 폼태그에서 서브밋해 데이터를 전달받을 페이지



'스터디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커넥션 풀(Connection Pool)  (0) 2017.08.16
JSP DB(데이터베이스)  (0) 2017.08.14
JSP 에러페이지에 대하여...  (0) 2017.08.11
JSP 쿠키(cookie)에 대하여...  (0) 2017.08.11
JSP에서의 세션(session)에 대해서...  (0) 2017.08.11

[    eclipse(이클립스)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자동완성 플러그인 설정하기    ]



이클립스에서 자바스크립트 사용시 ctrl + space 를 눌러 자동완성이 가능하도록 세팅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두가지 작업을 해주어야 합니다.


1. Help 탭->Eclipse Market place->Webclipse 검색 후 설치(install) 후 restart합니다.



2. 두번째로 window탭->preferences->Ant->editor->Content Assist에서 enable auto activation을 체크합니다.





추가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자동완성이 가능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JSP 에러페이지에 대하여...    ]


jsp 페이지 처리 도중 404, 500에러 페이지가 뜨면 일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어

UI등을 꾸며놓은 친숙한 에러페이지를 띄우도록 할 수 있다.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1. page 지시자를 이용한 방법

2. web.xml에 error-page 를 등록하는 방법이 있다.

----------------------------------------------------------------------------------------------------------------------------


[  1. page 지시자의 errorPage와 isErrorPage 속성을 이용한 방법  ]
main.jsp

errorPage.jsp







[ 2. web.xml에 등록하는 방식 ]


main2.jsp

web.xml에 등록하는 방식일 때는 page지시자의 errorPage를 사용하면 안된다.




web.xml
error-page 태그내에 404에러일 때 띄울 페이지, 500에러일 때 띄울 페이지를 지정했다.



error404.jsp
실재 404 에러 발생시 띄울 페이지이다.
response.setStatus(200) 은 꼭 해주도록 하자. 자동으로 500으로 세팅되어 제대로 에러 페이지가 호출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
200번 상태코드는 현재 페이지가 정상적인 페이지라는 의미이다.



'스터디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DB(데이터베이스)  (0) 2017.08.14
JSP 자바 빈즈(JAVA BEANS)  (0) 2017.08.14
JSP 쿠키(cookie)에 대하여...  (0) 2017.08.11
JSP에서의 세션(session)에 대해서...  (0) 2017.08.11
JSP 액션 태그(forward,include,param)  (0) 2017.08.10

+ Recent posts